•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데스크탑] [맥입문] 아이맥vs맥프로 질문 여러개 ㅠㅡㅜ 도와주세요;;

본문

안녕하세요 태어나 처음으로 맥으로의 입문을 고려 중인 '늦깎이 졸업반 대학생'입니다^^
지금까지 쭉 'IBM계열(?)'(이라는 표현이 맞나요??;; 일반 PC, non-MAC)만 사용해 오다가
이번 기회에 아이맥 혹은 맥프로 구매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제가
코어2듀오가 나오기 시작한 시점부터 그 이후의 쿼드, 8코어 등등에 대해서는 지식이 전무
하다는 것이고, 또 기본적으로도 컴퓨터라는 물건에 대해 원체 아는 바가 부박하다는 것
입니다 ㅠㅡㅜ.. 이러한 배경 위에 난생 처음 접하는 맥 시스템을 이해하려니 아무리 수많은
글들을 읽어봐도 이해 자체가 힘들어 이렇게 맥유저분들께 송구함을 무릅쓰고, (왠만한
컴맹이라면 검색의 생활화를 통해 해결할 수도 있을) 가장 기초적이고 답답(?)한 질문들을
여쭤보려 합니다.. 그것도 '뭉태기'로;;;; 미리 죄송하단 말씀 드리구요;;



1. 제가 사용할 주 분야는 건축설계 관련이고, 주로 사용하게 될 프로그램은 CAD / REVIT /
    Sketch-Up + V-Ray / 3D Max / Maya / Adobe Illustrator & Photoshop 정도입니다.
  
   위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 맥프로와 아이맥 중에 '가격대비 성능'(너무 주관적인가요;;)이
   보다 나은 것은 어떤 기종이 될까요..??

   참고적으로, iMac의 경우는
   2.8GHz Intel 코어2듀오 / 4GB 메모리 / NVIDIA GeForce 8800 GT 512MB (Two dual-link DVI)
   의 사양으로 생각해 놓았는데, MacPro의 경우는 (아는바가 없어서) 사양결정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2. MacPro의 경우, 메모리와 HDD는 옵션사항에서 추가하는 것보다 시중에서 단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저렴하다고들 하신 글을 보았는데, 그렇다면 일반 PC에 들어가는 메모리를 장착해도 된단 얘긴가요??
   된다면 조금 구체적으로 어떤 브랜드의 어떤 모델이 맥프로에 가장 적합할지 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메모리를 4G 혹은 8G로 구성할 경우, 1G짜리와 2G짜리 중 어떤 것으로 세팅하는
   것이 나은 것인가요??;;;;
   마찬가지로 HDD는 애플스토어에서 판매하는 제품과 동급이상의 사양이려면 시중의 어떤 모델이어야 할까요??;;;;



3. 일반 PC용 프로그램(위에 열거한)은 맥운영체제에서는 사용이 불가한 것 같던데, 제가 말씀드린
    프로그램들을 모두 맥버전으로 구할 수 있을까요??;;;; 구할 수 있다면 직접 정품 구매 외에는 방법이
    없는걸까요??;;;;




에효''' 주절주절 써놓고 나니 저 스스로도 또 한숨만 나오네요.. ㅠㅡㅜ 끝까지 읽어 주신 것만으로도
관심에 감사드리구요, 위의 사항들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시면.. 짧은 한 마디 조언들이 제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니 말씀들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좋은 저녁되세요^^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803
가입일 :
2007-01-12 00:13:28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22

베스트맥(A/S,판매)님의 댓글

2.대부분 메모리는 애플스토어 말고 맥대리점이나 용산등에서 추가로 구매해서 하시는것이 저렴하고요.
워린티와 상관 없습니다.

메모리는 제조회사에 상관없이 타입만 맞으면 되고요.

하드는 시게이트 하드를 추천합니다.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6.09 21:46

컴퓨터에 대한 기본지식은 사실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어떤 시스템에 맞는 메모리가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정도만 알고 계시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과연 맥프로라는 어마어마한 시스템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한번쯤 심각하게 고민해 보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어떤 용도로 쓰려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건축설계 관련 업무라면 맥프로가 좋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CAD는 사실 생각하고 계신 아이맥 정도로도 문제는 없을 듯하군요. 하지만 하드디스크는 가능한 한 큰 것으로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vaporize님의 댓글

베스트맥님:: 추천 감사합니다^^

imac님:: 중요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도 잠깐 생각은 했었는데..
제게는 맥이 필요가 없는 걸까요??;; CAD를 주로 사용하실꺼라는 다
른 어떤 분께도 그런 댓글이 남겨진 것을 확인은 했었는데;; 저는 캐드
도 캐드지만 3D rendering의 속도와 퀄리티가 보다 더 중요한 요인인
데 맥과 그래픽 작업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는건가요??^^;; 그렇다면
맥이 유용한 분야나 경우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UDG님:: 상세한 조언 감사합니다^^ UDG님께서 말씀하시는 설계관련
업무라 하심은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말씀하시는 것인지 좀 알 수
있을까요??^^;;

배영준님의 댓글

저도 건축설계쪽에 있는데요 사용상으로 본다면야 ibm계열이 좋을듯합니다.
확장성도 좋고 업글도 되고. 하지만 우리 같은 사람은 디자인에 뻑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맥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왠만한건 다 돼고 머
윈도우도 되니깐.. 일단 졸업하시고 사무실 가시면 집에서 컴터할 시간이 아마도 없을 것입니다. 각종 현상에 턴키에 하다보면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 있게되죠. 작업은 사무실 컴터로 하면됩니다. 그리고 cg 같은 경우는 거의 외주를 주기때문에 학생때 처럼 맥스할 일을 거의 없을 겁니다. 한다해도 주로 포샵하고 일러 스업+렌더러 정도만 쓰면 넘칩니다.
고로 전 아이맥정도면 만족하고 쓰실거라 생각합니다. 또는 맥북프로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하다보면 앞으로 합사나 파견나갈 경우도 많을테니깐요...저도 아이맥 쓰다 맥북프로로 전향했습니다. 그럼 이만.

백두진님의 댓글

짧은 지식이지만.. 저도 캐드를 하고 맥스와 마야를 합니다..

캐드를 하는 경우는 거의 불편함이 없습니다.. 없다고 봐야죠.. 그리고 맥스는 맥용이 없습니다.. 마야는 있습니다..  한가지 제가 지금 맥북프로로 지금 설계및.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만족합니다..간단하게 말해서.. 제 생각이지만.. UDG님 말씀처럼 하드는 용량 큰케 확실히 좋더군요,, 그리고 신형 아이맥 그래픽카드가 지포스8800GS 512MB 이기때문에 제 생각에는 오히려 더 좋은 퍼포먼스를 가지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좋은 선택하세요  개인적으로 아이맥 최고사양 추천..

김호경님의 댓글

님의 경우는 맥을 구입하시지 않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일단 아이맥의 경우 지포스8800GS의 경우 어차피 가속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별로 속도상의 이득이 없을겁니다. 또한 3DS MAX의 경우는 맥에서 사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들 하시는 오토캐드도 마찬가지 입니다. 사회 초년생이신거 같은데 괜시리 거금 들여서 후회하시지 말고... 일단 윈도우용 PC를 구입해서 쓰시기 바랍니다.

김호경님의 댓글

아...참고로 전 맥프로 옥타(신형) 시스템을 쓰고 있는데 시스템 자체는 너무 좋습니다. 어차피 전 그래픽 디자인 쪽이라서 별로 상관없이 쓰고 있기 때문에... 다만 매달 나오는 카드값에 죽을 지경이지만요. ㅎㅎㅎ

vaporize님의 댓글

배영준님:: ㅎ 설계쪽에 계씨는 분을 만나니 왠지 반갑네요^^;;;; 저도 사실 사
              무실에서 근무해야할 나인데 아직 졸업전이네요>ㅡ<''' 말씀해 주
              신대로 턴키 한번이면 집구경은 한동안 못하겠죠??ㅎ 저는 그래서
              진학을 예정하고 있고, 그 사이에 사무실을 간다면 아뜰리에 쪽을
              생각 중이어서 CG 외주는 바라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하
                구요^^;;;; 암튼 해주신 말씀들에 상당부분 공감되네요^^;; 좋은
              말씀들 감사하구요 꼭 참고하겠습니다^^

백두진님:: 캐드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으시다는 것은 맥북프로에서 윈도우로
              돌릴 때 그러시다는 거죠??^^ 하드용량의 경우에, 아이맥도 시중
              에서 따로 일반HDD를 구매해서 장착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아
              이맥이 더 좋은 퍼포먼스를 가졌다는 것은 맥프로에 비교해서 말
              씀하시는 건가요??^^;;(얼핏 찾아보니까 8800GS보다 맥프로의
              8800GT가 성능이 앞선다고 본것 같아서요;;) 무식한 질문만 자꾸
              해대서 죄송합니다;; 여튼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성진홍님의 댓글

히히 전 설계사무소 실장입니다.
설계파트는 아니고 홍보실장입니다만, 제가 시스템 메인터넌스까지 하고 있어서 참견 좀 하렵니다.

일단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아이맥은 준노트북형 일체형 홈피씨이고 맥 프로는 산업용 워크스테이션입니다.
따라서 가격도 가격이지만 퍼포먼스의 기준이 다릅니다.
하시려는 작업의 강도가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기에 맥프로를 권해드리고 싶군요.
사용하시다가 윈도우로만 써야겠다는 마음이 드신다면(아깝지만요 ^^;;) 과감히 아무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집어넣어버리시면 윈도우에서 씽씽 돌아가게됩니다. 다만 이경우엔 맥오에스에서는 화면이 안나와버리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1. 조금 자세히 말씀드려보겠습니다.

 ㄱ. AutoCAD 2008과 REVIT, 스케치업
맥북이나 맥북프로급에서도 부트캠프에서 잘 돌아갑니다.
실제로도 저희 대표이사님과 저, 그리고 몇몇 실장들이 그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ㄴ. 맥스/마야/시네마4D/V레이
요놈들은 모델링만 하신다해도 아이맥같은 일체형 준노트북급 컴터로는 조금 작업에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물론 렌더링까지 거신다면 아이맥으론 난감해집니다. 물론 꼼빼와 같은 촌각을 다투는 작업을 하실것이 아니라면 아이맥도 상관이 없습니다만, 우리 업무의 특성상 초치기, 분치기 다해야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것은 막을 수는 없으니 컴퓨터의 퍼포먼스와 안정성=제출의 유무와 직결되기도 하므로 여유가 되신다면 맥프로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건축CG의 경우 KPMG나 유럽의 몇몇 사무소들은 시네마4D로 우리가 원하는 컨셉츄얼하면서도 리얼한 그림같은 CG를 맥에서 만들어냅니다.
이런 분위기를 맥스서 해달라고하면 국내 CG업체들 죽어나더군요. ^^;;

ㄷ. 일러스트레이터/포토샵
이정도는 아이맥으로도 충분합니다만, 패널작업시엔 조금 힘듭니다.
물론 A1 한장짜리라면 아이맥으로도 날아다닙니다만, A1 8장짜리패널은 난감합니다.

저희 같은 경우엔 캐드나 CG작업만 윈도우에서 한 후에 모든 이미지 에디팅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도면 작업 그리고 최종편집은 자체적이던 외주던 무조건 맥으로 합니다.
이유는 패널작업시의 데이터의 용량이 엄청나기 때문에 맥이 더 안정적이고 빠르게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팁을 알려드리자면 (이미 아실지도 모르지만 ^^;;) 일러스트레이터 CS3는 캐드2007이상에서 작업한 DWG파일의 경우 스케일과 CTP값을 고대로 가진상태로 여실 수가 있습니다.

2. 메모리의 경우 일반 데스크탑용이 아닌 서버용 ECC(에러스정코드) 메모리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나중에 방열판만 애플꺼랑 같은거로 구매하셔서 달아주시면 됩니다.
메모리 구입요령은 같은 용량으로 2개씩 짝으로 구입하시면 되며, 2기가 2개 1기가 2개 하셔도 되고 4기가 2개로 하셔도 아무 이상 없습니다.

하드도 아무거나 사다가 레이드 구성해부리시면 됩니다.
웨스턴 디지털사의 랩터 시리즈나 시게이트, 후지쯔 등의 업체하드중 스핀속도가 빠른 하드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3. 흠흠 이런거 물어보심 잡혀갑니다 ㅎㅎ
현재 오토캐드, 캐드파워, 레빗, 맥스는 윈도우즈 전용이라 부트캠프로 윈도우 부팅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게다가 캐드파워는 2005버젼 이후부터는 크랙자체가 막혔고, 레빗은 아예 크랙본이 있지도 않습니다.
CS3는 크랙본이 좀 불안하구요.
가능하다면 다 정품 구매하시라고 하고 싶은데 학생분에서 저것들을 다 사시라고 하기엔 너무 힘들군요. 캐드+캐드파워+맥스+레빗의 조합만 해도 근 2000만원이라................^^;;

요건 다른 방도로 찾아보셔야 할겁니다.

P/S 백두진님 오랫만에 뵙는군요 ^____^

성진홍님의 댓글

ECC(에러스정코드) -> 에러 수정 코드 (Error Correction Code)입니다.
오타가 났네요 ^^;:

vaporize님의 댓글

성진홍님::  너무도 상세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조목조목별로 구체적인 말씀
              도 그렇고, 우리 분야에 해당하는 실례까지 들어 주셔서 정말 확 와
              닿는 것 같아요^^ 또 이야기해 주신 예시들을 통해서 어떤 프로그
              램에서 어떤 용량의 작업이 아이맥과 맥프로 각각에서 얼마만큼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는지에 대한 개략적인 감이 생겨서 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말씀 들어보니 아무래도 메이저급의
              사무실일 것이 틀림없으실 것 같은데 어디실지 궁금해지기도 하네
              요 ㅎ^^;;(쓸데없는 궁금증ㅎ) 암튼, 바쁘신 시간 쪼개서 이렇게 자
              세하게 도움 말씀 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성진홍님의 댓글

워메..메이저는 아닙네다 ㅎㅎ
인제 5년된 직원 30명정도되는 사무소입니다.
하지만 운영진들의 출신은 번쩍번쩍한다는거~ ㅎㅎ
저희 대표이사님이 정X에 맥 처음 들여올때 기획실에 계셨었기 때문에 저희가 조금 맥하고 친합니다. ^^;;

vaporize님의 댓글

성진홍님:: 아- 그러시군요^^;; 그래도 30명정도 규모면 작지 않으신데요??^^
그리고 정X도 맥을 쓰는군요?? 외주 주는 CG업체가 아니어도 설계사무소 자체
적으로도 맥을 사용하기는 하나보네요??^^;; 아는 친구가 희X에 있는데 물어
봐야겠네요ㅎ 암튼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조만간 맥유저로 뵐꼐요^^;;

백두진님의 댓글

당연히  맥프로의 8800gt가 훨신 뛰어나죠...  그치만 아이맥의 8800도  8600GT와 비슷한수준이더군여..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아이맥도 제생각엔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저는 맥북프로 초기모델입니다...  레이디온 X1600 256입니다..

지금 맥북프로라면 성능이 좋죠^^ 개인적인 차이지만^^

성진홍님 오랜만이예요^^  한국의 열대야가 곧시작되겠네요^^ 여기 호주는 이제 슬슬 추워지네요.. 건강하시고 돈많이 버세요^^

성진홍님의 댓글

애석하게도 정X가 내부 전산실을 외주로 돌리면서 맥 시스템이 멸종해부렀습니다.
지금은 맥을 안쓰죠 ㅎㅎ
희X도 마찬가지임다
전산관련 업체들이나 신규인력중에 맥이 먼지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라서요 ㅎㅎ.
그시절에 정X선 유닉스 프레임서버에 맥과 아리스캐드를 돌리던 호랭이 담배먹던 시절이라죠 ^^;;

성진홍님의 댓글

백두진님.....
호주로 도망가고 싶습니다 요즘엔....ㅜ_ㅜ
이제 슬슬 션해지겟군요 그동네는 ㅋㅋ

vaporize님의 댓글

백두진님::  저도 아이맥도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고민했는데.. 아무래도 일단
맥프로쪽으로 무게가 실리네요^^;; 결코 제 위치에서 욕심낼 수 있는 가격대
의 그 근처도 아니고 워크스테이션급인 그 잠재능력의 반도 제대로 활용 못할
수준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한4-5년 정도 사용할 생각하고 열심히 배워볼 생
각입니다^^;;(왜 갑자기 이런 쓸데없는 얘기를ㅎ;;)암튼 말씀 감사합니다^^

성진홍님::  안그래도 요새는 CG업체들쪽에서 주로 사용하고 희X도 맥은 찾아
보기 어렵다고 친구가 그러더라구요^^

백두진님의 댓글

ㅎㅎ.. 한국에서의 xp의 독점 현시점 그게 이제는 득보다 실로 돌아갈겁니다..

성진홍님.. 여기 호주는 애플의 붐이기 보다는 모든이들의 생활에 애플이 피수품이 되어가네요.. 오히려 신제품보다는 파워북시리즈나 아이포드 2.3세대가 더많이 보여요^^  또한 그룹미팅이나 프리젠테이션시 키노트의 위력은 가공할만한 파워를 가졌죠..  저또한 작은 미디어를 담당하지만 프리젠테이션하나만은 키노트를 사용합니다... 좋은 하루.. 다음달에는 아이폰을 구입해야겠네요 우하하... 죄송해요^^

곧 부활이 될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구입의 결정은 회원님의 몫입니다..
하지만 전자제품은 구입하는 순간부터 중고라는걸... 저는 돈이 없어서 맥프로를 안사는게 아닙니다.. 지금저에게 절실하게 필요하지 않아서 구입하지 않는거죠^^  지금부터 회원님이 타이트하게 프로폐셔널작업을 하는게 아니라면 ..그리고 제 친구나 선배라면 한번쯤은 더 생각해보라고 말하고 싶어요^^ 좋은 선택하세요^^

배석현님의 댓글

윗분들이 넘 잘 설명해주셨네요.. 개인적으로 말씀드리면
맥을 이용해서 이익을 창출하시는 거면 프로 기종을 추천드립니다.
그게 아니라면  나머지 기종들이면 충분합니다.

vaporize님의 댓글

백두진님:: 깊이 생각해 보도록 만드는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가까운 지인이
라면 재고해보라 하셨을 거란 말씀은 더욱 감사합니다^^ 아직 졸업은 한 학기
남았지만, 이러저러한 기회로 학생꼼페가 아닌 실제 현상설계 공모등에도 제법
참여 하느라 패널의 경우도 A1 3-5매 정도 규모의 작업이 진행되고, 듀얼모니
터 구성으로 기타 작업을 병행하려고 생각해보니, 성진홍님 말씀을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에 아이맥으로는 수월치 않을까 생각이 들어 무리해서 과분한 맥
프로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조만간 맥유저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배석현님:: 마찬가지로 조언 감사드립니다^^

Ryon님의 댓글

맥프로도 좋긴하겠지만,,,

캐드와 3D라면, 윈도우+쿼드로(또는 FireGL)이 좋지 않을까 싶은데요..

제 동생은 미국 PRATT에서 인테리어(실내건축?) 석사중인데

거기는 윈도우XP+쿼드로를 쓰고 있더군요..

어떤 결정이든, 후회없이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또, 맥유저가 되시는것 환영합니다.

vaporize님의 댓글

Ryan님::  헛- PRATT ^^;; 좋은데 계시네요ㅎ 저도 RISD에 가 있는 지인에게
물어보니 건축쪽은 IBM도 많이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이래저래 고민 많이
하다가 결국 맥으로 결정해서 배송 기다리고 있는데 거의 2주정도 되어 가고
있어 피가 마르는 것 같아요 ㅎ;;;;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전체 64,704 건 - 10 페이지
제목
최종수 3,644 0 0 2008.04.18
나권 3,639 0 0 2007.04.12
알지 3,638 0 0 2010.05.03
안천식 3,637 0 0 2010.08.11
박상현 3,633 0 0 2010.02.10
박진성 3,631 0 0 2011.11.15
박성환 3,630 0 0 2021.01.26
b6e 3,627 0 0 2011.01.25
홍종찬 3,617 0 0 2011.02.22
피아노맨2 3,615 0 0 2010.02.04
이슬 3,615 0 0 2010.01.30
김정현 3,614 0 0 2010.09.23
향기 3,613 0 0 2011.01.24
이상율 3,613 0 0 2011.06.03
OUMAC 3,610 0 0 2021.03.10
김도한 3,608 0 0 2009.06.20
vaporize 3,606 0 0 2008.06.09
PHENOMENON 3,605 0 0 2009.11.18
오세웅 3,601 0 0 2010.07.10
龍家里 3,598 0 0 2008.10.31
고선진 3,598 0 0 2007.04.01
이은영 3,598 0 0 2009.07.05
최형관 3,597 0 0 2010.12.09
신재호 3,591 0 0 2009.12.02
이지향 3,584 0 0 2010.03.18
김영권 3,584 0 0 2016.12.23
윤명숙 3,583 0 0 2004.04.28
박주영 3,582 0 0 2010.10.29
gigi 3,580 0 0 2009.12.13
김혜영 3,579 0 0 2009.12.09
김정화 3,576 0 0 2006.08.02
임태현 3,573 0 0 2008.11.13
김재열 3,571 0 0 2010.06.26
김성규 3,570 0 0 2008.08.31
라정호 3,567 0 0 2008.03.18
지효리 3,567 0 0 2008.01.14
jEdo 3,563 0 0 2008.03.08
Pridin 3,561 0 0 2010.01.27
김성년 3,559 0 0 2010.03.02
Snaggy 3,558 0 0 2011.11.01
MK 3,557 0 0 2009.01.14
김민 3,556 0 0 2013.07.11
김윤호 3,555 0 0 2010.12.11
SE30 3,553 0 0 2008.12.28
콩콩 3,551 0 0 2009.08.17
문지훈 3,540 0 0 2009.01.14
韓國民 3,540 0 0 2006.09.26
김수정 3,539 0 0 2009.11.05
애플망고 3,539 0 0 2015.02.26
nugooly 3,539 0 0 200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