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노트북] 서버에관한 질문좀 드리려고요 ^^;;;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 굉장이 추운데 출근 잘 하셨는지요?

다름이 아니라 서버에 관한 질문인데요.

현재 저의 아이맥은 iMac 2.5GHz Intel Core i5 MC309KHA 입니다.

집에 일이 생겨서 자택 근무를 해야하는 상황인데 이상황이 좀 어려워서요.

문제는 저의 아이맥에 모든 작업 파일이 다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다른사람이 저의 아이맥에 접속을 하여(네트워크공유) 복사후 사용하는게 아니라 파일을 바로띄워서 바로바로

수정을 합니다.

그럼 여기서 질문좀 드릴께요.

1. 스노우 레오파트를 사용중인데요. 검색해본결과 osx가 서버버전으로 따로 os를 구입해서 해야하나요?

2. 제 아이맥을 서버로 만들어놓고 회사가 아닌 집에서 파일 복사가 아닌 실시간으로 파일을 열어서 작업해도 되는건가요?

3. 서버로 만드려면 고정아이피가 필요한건지?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잘 알수 있는곳이 있는지 알고싶어요.
    회사는 유동ip이며 공유기로 연결되어 192.168.X.X로 접속됩니다.

네이버에서 검색결과 http://seanhigher.blog.me/60105214776 이분블로그처럼 하는게 서버인가요???

여러가지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이문제가 해결되지않으면 이직을해야해서요. 추운날 감기조심하세요!

-----------------------------------------------------------------------------------
ps. 검색을하다가 우연히 MAMP라는 프로그램을 알았는데요. 이걸로 충분할까요?;;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35,611
가입일 :
2002-12-02 17:32:10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6

천이얌님의 댓글

검색을 하다가 MAMP라는 프로그램을 알게되었는데요. 이걸로 될까요??;;;

ngel님의 댓글

제가 상황을 이해한 바로는 iMac에 OSX server나 MAMP등은 굳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중요한 건 외부에서 어떻게 해당 iMac으로 접근할 수 있느냐인 것 같습니다.

제가 설명드릴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외부에서 게이트웨이(공유기의 외부IP주소)로 접근시 iMac에 접근되도록 공유기설정에서 주소를 맵핑하고 고정IP를 쓰던가 아니면 DDNS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때 iMac은 FTP공유를 해두시면 되겠습니다.

다른 하나는 VPN을 설정해서 외부에서 내부 네트웍으로 접근하하고 고정 IP 또는 DDNS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중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VPN을 쓰되 DDNS를 쓰던가 아니면 그냥 공유기 외부IP주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VPN의 용도가 원래 천이얌님 같은 경우에 쓰기 위해 만들어진 것(기업의 지사들간 등 흩어진 네트웍들의 단일화나 직원들의 재택 근무 등등에...)이고 실제 기업들이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동 IP부분은 별도의 고정 IP를 쓰는 것보다 DDNS를 쓰시던가 아니면 그냥 게이트웨이의 외부IP로 접근해도 됩니다.
유동IP란 것이 IP가 바뀔 수 있다(IP주소 고정/불변을 보장하지 않는)는 뜻이지 꼭 바꾼다는 것은 아닙니다.
또 실제로 거의 바뀌지 않으니(회선 업체가 잘 바꾸지 않습니다) 그냥 쓰셔도 큰 불편은 없으실 것 같습니다.
저도 드물게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해서 처리할 일에 곧잘 VPN을 사용합니다. VPN으로 연결한 다음 특정 장비를 원격부팅해서 리모트데스크탑으로 제어하기도 합니다.

다만 VPN의 경우 공유기 또는 VPN장비의 성능과 회선 대역폭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파일에 접근, 처리, 갱신이 빈도가 많을 시 그 효울에 대해서는 주소 맵핑을 통한 FTP 접근과 VPN 방식을 비교 시험 해 확인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VPN은 특성상 단순히 외부로 부터의 접근을 내부 특정 주소의 단말로 맵핑하는 것에 비해 CPU연산이 더 소요되므로 장비에 따라 효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쓰기에 무리 없는 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는 것이 적고 솜씨가 없어 글이 장황하지만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장우근님의 댓글

FTP 공유 켜지 마세요.
ssh 로그인만 켜놓으시고 sftp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제닉스님의 댓글

전기세 만만치 않을 걸요. 서버를 가동해서 항상 켜놓는 다는 것은 가정집에서는 조금 부담스러운 부분입니다(일반 데스탑으로). 외국 유명기업들이 IDC(인터넷데이터센터)를 한국쪽으로 옴길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다른 어떤 나라보다 한국이 전기세가 엄청 싸다는 이유로요. 대부분 서버 운영비용중 50% 이상이 전기세로 나가거든요. 저가 볼때는 님같은 경우, 중,저가 나스시스템을 쓰시는게 좋을 듯 십습니다만.... 10~20만원이 구입 할 수 있습니다. 가정용으로요...

심혁님의 댓글

1. 맥의 IP를 수동으로 변경합니다.
2. 맥의 개인 파일 공유를 켭니다.
3. 공유기에 들어 가서 TCP 548번 포트를 맥의 IP로 포트포워딩 합니다.
4. 공유기가 현재 쓰고 있는 공인IP를 알아 둡니다.
5. 집에 가서는 cmd+k 후 afp://공인IP/ 로 접속합니다.

* 공인 IP가 숫자라서, 자주 바뀌어 귀찮으면 공유기의 DDNS를 이용하거나 DDNS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회사내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천이얌님의 댓글

어이쿠 답변 정말 많이 달렸네요. 크리스마스 잘들 보내셨어요?

소중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모두다 시도해본훈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겠습니다.

전체 4,007 건 - 4 페이지
제목
양현석 683 0 0 2010.11.15
머리곰므 655 0 0 2010.11.14
uKnown. 741 0 0 2010.11.12
엄석현 810 0 0 2010.11.10
양회장 709 0 0 2010.11.09
다음 754 0 0 2010.11.08
[처로] 729 0 0 2010.11.05
Phantom 638 0 0 2010.11.03
로져 746 0 0 2010.11.02
김성민 697 0 0 2010.10.30
김흥수 608 0 0 2010.10.28
남국현 706 0 0 2010.10.26
노진근 627 0 0 2010.10.24
홍기성 833 0 0 2010.10.22
유지웅 722 0 0 2010.10.20
서동혁 696 0 0 2010.10.19
윤호영 666 0 0 2010.10.17
nwelo 924 0 0 2010.10.14
붉은소나기 827 0 0 2010.10.12
아미고 718 0 0 2010.10.10
iscariot 697 0 0 2010.10.08
울프 595 0 0 2010.10.06
龍家里 699 0 0 2010.10.04
이광일 1,178 0 0 2010.10.02
서윤정 1,053 0 0 2010.09.29
루씨~ 1,191 0 0 2010.09.27
MACJake 986 0 0 2010.09.25
바나나농장 966 0 0 2010.09.23
김혜진 752 0 0 2010.09.21
최주성 529 0 0 2010.09.19
김태우 701 0 0 2010.09.17
행방불명 846 0 0 2010.09.14
장민철 745 0 0 2010.09.12
전성진 2,351 0 0 2010.09.10
청개구리 678 0 0 2010.09.08
Ludwig.Von.DOHWEE 1,323 0 0 2010.09.07
ⓧoneup9 1,453 0 0 2010.09.06
guru 915 0 0 2010.09.02
euny 1,102 0 0 2010.09.01
editioncomm 654 0 0 2010.08.31
홍정완 704 0 0 2010.08.29
도마 1,309 0 0 2010.08.27
향기 879 0 0 2010.08.25
프리맥 943 0 0 2010.08.24
지승환 941 0 0 2010.08.22
무시235 2,958 0 0 2018.12.01
맥피니언 1,831 0 0 2017.12.26
김이진 396 0 0 2017.09.05
황인규 2,371 0 0 2017.02.07
jjun0908a 1,869 0 0 2016.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