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Quark

맥 쿽!~ 고수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해결좀 해주세요!!~

본문

안녕하세요!~ 디자인업체에서 일하는 사람인데요!~ 제가 이번엔 맥과 IBM 호환의 작업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습니다!~ IBM만 쓰다가 맥을 쓰러니 막히는 부분들이 많아서
이렇게 케이머그에 도움을 요청하게되었습니다!~ 제가 맥과 쿽에 대해서 잘알지못해서요..^^
되도록이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으면 ㅜㅜ ~번거로우시더라도 부탁좀드릴께요!~
도와주세요!~


1. Mac 에서 다른 Mac 으로 파일을 복사하여 이동할시에 이동방법이 궁금합니다. 가령
USB로 복사해서 바로 이동이 가능한지 CD라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지 하드복사
를 한다든지의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2. Mac의 쿽에서 PDF 로 변환할시에 해야할 작업이 무엇이 있나요? ( 프로그램설치 및
설정해줘야할 부분들)

3. Mac 쿽에서 작업한 파일을 에서 PDF 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쿽 의버젼은 3.3k이구요.
제가 듣기로는 3.3 버전에서는 PDF 로 변환이 바로 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그대신
PDF로 변환이 가능하다고는 들어서요. 그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3.3 버전의 상위
버전(4.1, 6.5버전) 에서는 PDF 변환이 프로그램안에서 바로 된다고 들었습니다. 이상위
버전에서의 PDF 작업에 대해서도 설명좀 해주십시요!~

4. Mac에 서체를 설치할때의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OS 버전별로)

5. Mac 에서 PDF로 변환시에 몇가지 문제점이 생긴다고 들었습니다. 어떠한 문제점들이 발생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문제점들을 해결한 대책에 대해서도 알고싶습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870
가입일 :
2007-02-04 18:56:51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13

베스트맥님의 댓글

1.용량이 크지 않다면 압축을 해서 USB메모리스틱등을 이용하시는게 좋습니다.

2.PDF로 만들수 있는 프로그램은 4가지 정도 됩니다.
아크로뱃 디스틸러,프린터TO PDF,EZ PDF GATE,PDF인베이더등입니다.

3.OS X용 쿽6.5에는 기본적으로 PDF변환이 됩니다

4.OS X는 OTF서체등은 라이블러리안에 폰트폴더에 넣거나 정품 서체를 인스톨 해야 되고요.
OS 9는 한글시스템안에 자형폴더에 서체를 넣거나 인스톨 해주셔야 됩니다.
특이 윤서체같은 경우에 복사본을 사용할때 서체는 넣고 별도에 윤서체를 시동시켜주는 TTE엔진 파일과 TTE라이블러리폴더를 한글시스템안에 확장화일에 인스톨해서 설치하셔야 됩니다.

5.위에서 말한 4가지 프로그램등에 서로 장담점이 있습니다.
아크로뱃 디스틸러는 윤서체같은 정품계열에 서체는 변환이 안되고요.
프린터TO PDF는 무료 프로그램이고요.
나머지 2가지는 완벽하게 변환이 되지만 정품을 구입해야만 가능하고 가격이 좀 비싼편 입니다.
========
▶A/S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베스트맥(아이디)를 클릭하시고 회원정보 보기를 참고해 주세요.◀

민트핫쵸코♨님의 댓글

다른건 모르겠고요..1.번답은!  키티님이 말씀하신데로  USB나  CD로도 이동가능하고요.. 아니면 선택자에서 공유하는거 하시면 더 쉽겠네요!
다른 방법은...웹하드를 이용하시면 편리하지 않을가요?


저의 작은 리플이 도움이 될런지요^^;;

준도우미님의 댓글

1. 같은 공유기에 연결이 되어져 있으면 맥끼리 네트웍공유를 해서 옮길수있습니다.
맥오에스9는 조절판의 파일공유에서 사용자이름, 컴퓨터 이름을 주고 파일공유를 켜주세요.
연결은 죄측의 사과메뉴에서 선택자를 열고 애플쉐어를 선택하며 상대방 컴퓨터이름이 나옵니다.
여기서 공유를 해주면 됩니다.

2.PDF변환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실제적으로 완벽하게 변환하려면 별도 PDF패키지(PDF게이트 등)를 구매를 해야합니다.그렇지 않으면 많이 사용하는 윤체나 산돌등 상용서체는 변환을 할수가 없거든요..
일반적인 한컴체(#체)나 한양서체는 애크로뱃디스틸러(상용프로그램)를 통해서 변환할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Print toPDF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도 됩니다.
단 시간이 상당히 오래걸리며, 서체도 역시 제대로 변환은 다안됩니다.
이것의 다운로드는 아래에서..
<a href=http://kmug.co.kr/board/zboard.php?id=program&no=570&ln=&ls=on&lc=on&lcc=&keyword=PrinttoPDF target=_blank>http://kmug.co.kr/board/zboard.php?id=program&no=570&ln=&ls=on&lc=on&lcc=&keyword=PrinttoPDF </a>

4. 맥오에스9에서는 한글시스템의 자형폴더에 서체를 넣고. 재시동을 해야 합니다.
단 윤체 트루타입은 한글시스템>확장폴더에 TTE엔진과 TTE라이브러리가 설치가 되어야 인식 사용가능합니다.
아시안 CID서체나 영문 포스트스크립트 자형은 조절판에 ATM이 설치가 되어야 합니다.

맥오에스 텐 : OTF(오픈타입폰트)서체를 사용합니다.
A. 하드안>라이브러리>폰트 폴더에 넣으면됩니다. : 모든 사용자가 사용가능
B. 하드안>사용자 홈폴더>라이브러리>폰트 폴더에 넣어도 됩니다.; 이 사용자 홈폴더 계정을 가진사람만 사용가능합니다.

5. PDF변환문제 답변은 위의 2번에 같이 설명이 되어져 있습니다.
-------------------------
^^ 도움이 되셨나요 ?
★ [맥&PC 기술상담. 하드복구] A/S (데이타복구등) 나 설명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제 아이디를 눌러 [회원정보 보기]를 보세요.
Since MAC 1991

키티성은님의 댓글

그럼 EZ PDF GATE,PDF인베이더를 사용하면 만일 다양한 서체가 쓰인 다른곳에서 작업한 쿽파일을 저의 맥쿽에서 열어보았을시(제맥에는 쿽파일에 쓰인 서체가 없을시에도) 저두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DF로 변환시키면 서체문제및기타등등의 문제점없이 100% 원래 작업된었던 그상태 그대로 변환이 되어지는 건가요????^^

베스트맥님의 댓글

네 그렇습니다.
그러나 해당 프로그램은 PC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맥에서 PC로 출력을 보내 PDF로 파일이 전환되면서 저장이 됩니다. (립처럼)
맥에서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키티성은님의 댓글

(우선 빠른 답변 감사해요!~)
그럼 맥에서 작업된 쿽파일을 그대로 IBM에서 가져와서 PDF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는 말씀이시네요!~ 그프로그램은 쿽안에 Add-on 되어 실행되는건가요? 아니면 별로로 실행되는 건가요???? 그리고 꼭 아크로뱃 디스틸러,프린터TO PDF 이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면 발생되는 문제점 과 최대한의 해결책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준도우미님의 댓글

EZ PDF GATE,PDF인베이더를 사용하면 좋지만, 비용이 상당히 비쌉니다.
회사에서 지원을 해줄수 있으면 구매해서 사용하면 좋습니다.
PC의 성능도 좋으놈으로 설치를 해주어야 변환이 빠르게 됩니다.

베스트맥님의 댓글

EZ PDF GATE , PDF인베이더 사용시 PC가 프린터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파일을 복사해서 보내는것이 아니고 PC로 프린터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출력을 보내면 파일이 PDF로 되면서 PC에 저장이 되는 겁니다.

키티성은님의 댓글

음 제질문은 EZ PDF GATE , PDF인베이더 이 프로그램들이 쿽프로그램 안에 서 해당 도큐멘트를 오픈한뒤 프린트해서 가상PDF프린트를 이용해서 PDF를 제작하는건지 아니면 자체적으로 단일프로그램으로 실행되어 프로그램상에서 쿽파일을 선택후 일괄적으로 PDF변환작업이 필요한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부분 질문에대한 답변이 없어서 다시 드릴꼐요!~ (꼭 아크로뱃 디스틸러,프린터TO PDF 이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면 발생되는 문제점 과 최대한의 해결책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부탁드립니다!~

베스트맥님의 댓글

EZ PDF GATE , PDF인베이더는 PC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쿽프로그램에 메뉴와 연관되는건 아닙니다.
쿽에서 작업한 EPS파일을 프린터로 출력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맥에서는 단지 프린터 PPD드라이버만 이용해서 보내는 겁니다.

베스트맥님의 댓글

그외에 PDF 전환프로그램들은 시간이 올래걸기고 정품서체나 기타 윤서체 같은 트루타입서체는 변환이 안됩니다.

왕초보님의 댓글

pdf인베이더는 멕버전도 있는데(예전버전이지만)그런데 맥버전은 서체쪽에 문제가 잇더라구여 해결해서 쓰는데 무지 고생했던 적이 ...

권군오님의 댓글

제가 사용해본 경험에 비추어 맥의 Quark에서 PDF 변환시 돈안드는 방법인 'PrintToPDF 2.4.4' 버전의 사용법

과 사용후기를 적어보겠습니다.

=================================
1. PrintToPDF 2.4.4 개요와 장단점
=================================
◆ 개요
1. 2007년 2월 현재 가장 최신 버전입니다.
2. 인터넷 조금 돌아다니면 금방 구할 수 있습니다.
3. 사용환경 - OS 9.x, OSX의 클래식 환경 + Quark 3.3K(저의 경우입니다)

◆ 장단점
1. 프로그램깔고, PDF 만드는데 돈이 전혀 안듭니다. 그러나 가끔 애가 탑니다.

2. 영문 전용 서체의 경우 윤곽선 형태(확대해도 깨지지 않는(=계단현상이 없는) 모습을 표현한 용어입니다)로

잘 PDF가 만들어집니다.

3. 한글 서체(윤서체, 산돌, HY, 기타등등)는 '비트맵이미지' 옵션을 체크해주지 않는 한 PDF가 만들어지지 않

습니다(PDF 변환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저의 경우 1시간을 기다려도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PDF가 만들

어지지 안는다고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 초기 환경설정시에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서체들을

'비트맵으로 하겠다'고 선택해주었습니다. 그랬더니 일단은 PDF는 만들어졌습니다. 이때 해상도를 600dpi,

1200dpi, 1500dpi 등으로 설정하면 그런대로 마음에 드는 PDF가 만들어집니다.

4. Quark 파일에 큰 그림 등이 있을 경우 여러 페이지의 PDF 생성을 하려 하면 에러가 나면서 중지됩니다. 극

단적으로 Quark 파일의 한페이지만 PDF로 만들더라도, 600dpi나 1200dip 이상으로 PDF 만들려고 할 때, 큰 그

림이 있거나 하면 PDF 만드는 도중에 에러가 나면서 중지됩니다. 이때는 해상도를 줄여가면서 한페이지씩 PDF

를 내보내면서 테스트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5. 글자가 위주이고, 작은 그림이 들어 있는 문서의 경우 1쪽에서 20쪽까지 PDF를 내보내도 잘 작동합니다.

6. PDF 변환작업을 하면서 이렇게 쪼개진 pdf 파일들은 Adobe Acrobat(리더 프로그램 아님)에서 불러들여 하나

로 합친 후 최적화를 통해 파일크기 축소를 해줍니다).

7. 일러스트레이터로 만든 EPS 그림파일 및 포토샵 EPS 파일을 상당히(겨우 형체판독 가능) 깨집니다. 단, TIF

파일은 안깨지도 잘 나갑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 고객에게 주는 시안용으로 PDF를 만들 때 일부러 eps 그림을

tif로 변형하여 Quark에 앉힌 후 PDF를 만듭니다. 만약 클리팽 패스를 썼거나 했을 때는 품질(깨지냐 안깨지냐

)이나 효과(클리핑패스를 만든 목적) 둘중 하나를 포기합니다.
(이런 수고를 하는 것이 다 쇳가루가 없기 때문입니다. ㅠ.ㅠ)


===================================
1. PrintToPDF 2.4.4 설치와 사용방법
===================================
◆ 설치방법
1. PrintToPdf 라는 파일을 '한글시스템 - 확장파일' 폴더 안에 복사해줍니다.
2. 사과 아이콘에서 '선택자'를 선택한 다음 'PrintToPDF'를 선택하고 창을 닫습니다.
3. 그러면 시스템의 프린터가 'PrintToPDF'로 설정되겠죠. (이 과정은 Quark이 실행중일 때 해도 됩니다).

4. PDF로 변환할 문서를 Quark으로 불러들인 후 '파일 - 도큐멘트 설정'을 선택하여 지금 불러들이 도큐의 크

기(예: 189mm x 261mm)를 확인하고 그 숫자를 메모해둡니다.

5. 다시 '파일 - 페이지설정'을 선택합니다. PrintToPDF 2.4.4 라는 이름이 붙은 창이 뜹니다. 제일 먼저

'Preferences' 단추를 누릅니다.

6. 여러가지 탭이 뜨는데, 이중 'Fonts' 탭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폰트들의 목

록이 모두 나열되는데, 이들을 전부 선택해줍니다. 이 단계에서 약간의 노가대가 요구됩니다. 한가지 희망적인

것은 이 노가대는 처음 한번만 해주면 된다는 것입니다. 원래는 해당 도큐에 사용된 폰트만 해줘도 되는데, 아

예 처음부터 모두 다 선택해주는 것이 마음 편합니다.
원래 이 탭은 '윤곽선으로 안쓰고 비트맵으로 쓸 폰트'를 지정해주는 곳인데, 한글 서체는 이 옵션을 선택해주

지 않으면 PDF가 안만들어지기 때문에(저의 경험) 아예 모든 서체를 다 선택해버리는 것입니다.

7. 다 했으면 Sizes 탭으로 이동하여 오른쪽에 있는 'New' 단추를 누릅니다. 그리고 아까 메모해두었던 도큐의

사이즈(저는 width에 198, height에 261 입력)를 입력해줍니다. 단위를 mm로 지정해주는 것 잊지 맙니다. Name

항목에도 적당히 이름을 입력합니다(예:행복탐험).
만약 '펼침면'으로 PDF를 만들고 싶다면 가로만 2배수로 된 숫자로 입력해줍니다.

8. Misc 탭을 선택하고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합니다. 일단 빵빵한 1200부터 시작하죠.

9. OK 단추를 누르면 다시 최초의 대화상자가 나오는데, 이곳의 paper size를 눌러 아까 새로 만든 도큐 사이

즈이 이름(예:행복탐험)을 선택하고 OK를 누릅니다.

10. 이제 '파일' 메뉴에서 '프린트'를 선택합니다. 이 대화상자에서 일단 '맞춤표' 옵션을 해제하고, 펼침면

옵션은 Size에서 지정한 크기에 맞게 선택합니다(단면의 수치를 입력했다면 펼침면 옵션 해제, 가로크기르 2배

수로 입력했다면 펼침면 옵션 선택).

11. 인쇄할 페이지 영역을 지정해줍니다. 처음부터 무리하게 모든 페이지를 선택하지 말고 일단 1쪽만 내보내

면서 프로그램과 나 사이에 궁합을 맞춰가는 것이 좋습니다.

12. OK 단추를 누르면 PDF가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약 이 단계에서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둥' 메시지가 뜨면서 에러가 나면 큰 그림파일 등이 있다는 뜻입니다

. 이때는 해상도를 300dpi, 72dpi 등으로 낮춰가면서 다시 생성해봅니다)

13. 생성작업이 끝나면 PDF 파일을 저장하는 상자가 뜹니다.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14. PDF 파일을 열어서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해봅니다. 잘 만들어졌으면 해상도를 1200dpi로 올린다든지 하면

서 더 실험해봅니다.

15. 이렇게 여러 조각으로 만들어진 PDF 파일은 애크로뱃에서 불러들여 하나로 합친 후 최적화여 저장하면 그

런대로 쓸만한 PDF 파일이 완성됩니다.
해상도가 낮은 경우 PDF 파일을 확대해보면 계단현상이 심합니다. 1200이나 1500dpi일 경우 그런대로 쓸만한

PDF로 보입니다.

이상은 저의 경험을 통해 정리한 PrintToPDF 사용법입니다.
물론, 다른 사람들은 또 다른 경험을 가질 수도 있으니,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듣어보는 것이 필요하겠죠.